해커를 해킹한다
페이지 정보
본문

도서소개
공동체 정신에 입각하여 누구나 접근 가능한 컴퓨터 이용 환경을 만든 주역을 꼽는다면 단연 해커집단이며, 또 거대한 전산실에서 발견할 수밖에 없던 컴퓨터를 가정과 사무실의 개인용 컴퓨터로 탈바꿈시킨 주역을 찾아도 그 해답은 해커로 귀결된다. 그렇지만 갇혀있는 정보를 찾아내 다른 이들과 함께 나누고자 노력한 해커들의 나눔의 정신은 정보를 경쟁력의 방편으로 삼는 오늘날에는 통용될 수 없게 되었다. 이처럼 정보화 시대의 개척자에서 첨단 범죄의 주역으로 그 평가가 극단적으로 달라져 온 해커의 실체를 그들의 활동과 생각들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아울러 저자는 인터넷 등을 통한 검열 반대운동이나 소프트웨어 공개 활동 등은 해커정신의 부활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해커는 왜 해킹을 하는가?
해커들은 기술 혁신에 따른 열매가 권력과 재력을 가진 소수의 손에 집중돼서는 안 된다는 평등 사상과 아나키적 공동체 정신에 입각하여 해킹에 몰입한다. 더욱이 해커들은 정보혁명의 결과물들을 민중의 권리와 생명을 위협하는데 이용하는 것에 반대한다. 베트남 전쟁의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전화세를 인상하자 해커들이 전화를 공짜로 걸 수 있는 방법을 알아내 이를 확산시킴으로써 반전운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한 것은 그 좋은 예이다. 물론 누구나 할 수 없는 것을 해결하는 데서 맛보는 희열이 해커가 날밤을 새워가며 컴퓨터 시스템에 몰두하는 진정한 이유이기도 하다.
내용 요약
제1장 '정보사회와 해커'에서는 정보사회 진입과 함께 나타난 해커의 모습을 살펴본다. MIT 대학에서 탄생한 해커들의 속성과 변천 과정, 그리고 반전운동과 결합하면서 정보 공유의 정신을 해커들의 기본 입장과 이로 파생된 각종 문화현상을 다룬다.
제2장 '정보화 사회의 명암'은 정보통신 혁명이 가져온 긍정적,·부정적인 요소를 부각시켜 해커문화의 역사성을 되짚어 보고 있다.
제3장 '해커의 담론'에서는 해커들이 해킹에 빠져드는 이유를 정리하였다. 특히 히피의 역사에서 해커의 가능성을 발견하려는 시도도 함께 곁들였다.
제4장 '정보화 사회의 창과 방패'에서는 해킹의 구체적인 방법론에서 엿볼 수 있는 철학체계를 중심으로 전산보안 전문가와 해커 사이의 치열한 투쟁의 역사를 기술하고 있다.
제5장 '해커의 세계'에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해커들의 삶을 추적해 보았다.
「부록」에서는 지적소유권(copyright)에 대항하는 해커들의 반저작권(copyleft) 운동의 철학을 살펴볼 수 있는 리차드 스톨만의 「GNU 선언문」, 사이버 스페이스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통제를 거부하는 존 페리 바를로의 「사이버 스페이스 독립선언문」, 컴퓨터와 정보기술이 민주의 삶을 향상시키는 데 쓰여져야 한다는 주장을 담은 '사회적 책임을 생각하는 컴퓨터 전문가들의 모임'의 「컴퓨터와 정보기술에 대한 강령」을 수록하였다.
저자소개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