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은 무죄인가
페이지 정보
본문

도서소개
한국사회의 법과 사법에 대한 여러 원칙 문제를 비판적으로 다룬 이 책은, 우선 현실의 법과 사회를 함께 논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천편일률적인 법학 개론서류와 다르다. 또한 우리 법을 학문적 차원에서 체계적·비판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점에서 최근 유행처럼 쏟아져 나온 생활법률서들과도 구별된다. 이 책의 성격은 현대 한국사회의 법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돕는 기본 입문서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법률가가 아니더라도 오늘을 사는 현대인에게 꼭 필요한 덕목인 법적 소양과 법적 사고를 갖추는 데에도 이 책이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법은 인권의 체계
이 책에 담긴 법에 대한 저자의 철학은 '법은 곧 인권의 체계'라는 말에 압축되어 있다. 법의 역사는 곧 시민적 인권(18세기)-정치적 인권(19세기)-사회적 인권(20세기)로 이어지는 인권의 역사이기도 하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국민의 권리'-'인간의 권리'-'인류의 권리'로 발전해온 인권의 개념을 이해할 때야만이, 공적 법률부조제도와 같은 사회권이 발전되어온 과정이나 법과 민주주의, 그리고 법과 평화와의 관계를 온전히 이해할 수 있음이다. 인류공통법이라 할 국제인권법 등에 저자가 많은 관심을 쏟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국민을 위한 사법개혁
최근 검찰 중립 문제를 시발로 하여 사법권 전반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극에 달하고 있다. 약자에게 군림하고 강자에게 굴종하는 우리 사법의 현실은, 정작 법의 도움을 받아야 할 이들에게까지도 '법'이 늘 두려움과 기피의 대상이 되도록하고 있다. 이 책은 법조계의 법서비스 정신 부재에서 국민 참여를 원초적으로 배제하고 있는 사법제도의 문제까지를 총체적으로 다룬, '군림하는 법'이 아닌 '봉사하는 법'을 위한 시론이다. 사법시험 합격자수 좀 늘리는게 사법개혁의 전부일 수는 없으리라. 생활인의 구체적 일상 구석구석에까지 그 변화의 의미가 미치는 바람직한 '사법개혁의 상'을 저자는 법과 사법 전반에 걸쳐 일목요연하게 제시하고 있다.
저자소개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