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죽이기
페이지 정보
본문

도서소개
95년 초 발간된『김대중 죽이기』에서 김대중과 관련된 지역차별 문제가 일부 개진된 바 있는데, 이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은 참으로 뜨거웠다. 8백여 통에 이르는 편지와 책 서너 권 분량은 족히 될 PC통신상의 토론이 있었다. 저자의 견해에 대한 극단적인 찬성과 반대 그리고 냉소적 중립 등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는 그 생생한 내용들이 이 책의 집필에 기본 자료로 활용됐다. 기존의 지역차별 관련 서적들과는 달리, 구체적 실상에 대한 증언과 그에 대한 찬반양론을 저자 나름의 관점으로 비판해 가면서 입론해가는 방식의 구성이다.
양지에선 언제나 '지역감정'이라는 쌍방과실적 표현으로 대체당해야만 했던 '호남차별'은 그래서 음지의 언어다. 햇빛 아래서 당당히 논의되기보다는 뒷구석에서 음험히 수군대어지는 유령의 언어인 셈이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지역차별의 존재를, 그리고 그 폐해의 심각성을 익히 알고 있지만, 본격적으로 이를 공개석상에 올려놓기를 꺼려한다. 그 심리의 이면과 그것을 생산해낸 사회 구조를 냉철히 들여다본 결과물이 바로 이『전라도 죽이기』이다.
'호남차별을 강화하는 3대 원인'
첫째, '서울 공화국'이란 단어로 대표되는 서울 중심주의는 지방간 격차의 문제를 '서울 대 지방'이란 구도로 희석되게 함으로써 문제 해결을 더욱 지체시키며, 동시에 지방자치가 정착되지 않아 지방에 대한 서울의 절대권력이 특정 지역 집단에 의해 장악될 수 있음으로 해서 지역균형은 깨지고 그 권력을 쥐기 위한 쟁투의 격화로 갈등은 더욱 부추겨지게 된다.
둘째, 지역차별에 의한 경제적 낙후는 구매력의 축소를 가져와 이것이 다시 '시장논리'에 의한 차별을 불러오는 악순환의 고리에 갇히게 된다. 지역차별의 심리 역시 대세 추수의 '시장논리'를 거스르지 않으려는 역소외 심리를 자극해 차별의 악순환을 불러온다.
셋째, 지식인들의 '보신주의'는 차별구조로 이득을 보는 세력과 그 구조를 밝혀내는 데 장애가 됨은 물론, 문제의 공개적 논의를 통한 해결책 모색을 지체시킨다.
"패권타도! 차별 철폐"
저자는, "호남차별"문제는 우리의 양심에 통증이 올 때에야 만이 해결될 수 있으므로, 그 해소운동은 학력차별 빈부차별 남녀차별 등 모든 차별과의 투쟁이라는 대의와 결합됨으로써 현실적 설득력과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후기>를 통해 최근 비자금 정국의 와중에서 터져나온 김대중씨 20억원 수수의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에 대해 언급한다. 3김청산을 진짜로 하려면 '김영삼 대통령 하야'까지 포함시켜야 하며, 그런 혁명을 국민이 원치 않는다면 우리는 우리의 '더러운 정치 역사'에 대한 깊은 안목과 인내를 요구받게 된다고 말한다.
저자소개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