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다른 길
페이지 정보
본문

도서소개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서구사회는 격동 속에 휩싸였다. 정치ㆍ경제ㆍ사회적으로 대지각변동을 겪으면서 혼란과 불안이 계속되었다. 그런 만큼 서구사회의 패러다임을 그 저변에서 이끈 지성들의 움직임도 그 어느 때보다 뜨거웠다. ‘서구 지성사 3부작’은 바로 그 뜨거운 시대의 지적 전통의 거대한 뿌리를 캐는 방대한 작업이다. 뿐만 아니라 20세기 초 전후를 다룬 연구 성과 가운데 현재까지 서구 지성계에서 가장 위대한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칼 야스퍼스는 소크라테스, 플라톤, 석가, 공자 등이 한꺼번에 출현했던 기원전 500년을 전후한 시기를 이른바 축시대軸時代, die Achsenzeit라고 일컬으며 인간 자각의 대전환기로 보았다. 이와 유사하게 ‘서구 지성사 3부작’의 저자 H. 스튜어트 휴즈는 3부작에서 다루고 있는 최초 시점인 1890년대부터 이후 40여 년간을 인류 역사상 가장 새롭고 창조적인 전환의 시기로 보고 있다. 실제로 20세기 인류에게 가장 막대한 영향을 끼친 이론들을 정립한 사상가들, 예를 들어 프로이트, 베버, 마르크스, 크로체, 뒤르켐, 베르그송, 파레토, 마이네케, 융, 딜타이, 슈펭글러 등이 모두 이 시기에 활동했다. 당시는 세기말과 제1차 세계대전이라는 격변의 흐름 속에 놓여 있었고, 당대 지성들은 이전까지의 사상적 틀 속에서는 새로운 시대를 설명해내기 힘들다는 한계에 직면해 있었다. 따라서 그들은 이전까지 한번도 시도된 적이 없는 지적 모험을 감행했다.
창조적 전환의 시기를 지나고 나서 서구 사회는 다시 한 번 격랑에 휩쓸린다. 바로 전체주의의 등장과 제2차 세계대전, 그리고 냉전시대의 시작이었다. 저자는 이 두번째 시기 동안 냉혹한 현실 문제에 직면한 지성들이 어떻게 맞서 싸워갔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지성사의 대변혁이 만들어낸 흐름을 총괄한다. 저자는 이 시기의 지성들을 두 그룹으로 나눈다. 하나는 정치경제적으로 패배한 프랑스의 지성들이 절망적인 상황을 헤쳐 나가기 위해 싸워 나갔던 지적 여정들이다. 그 대표자들로는 페브르와 블로크를 비롯해 마리탱, 마르셀, 베르나노스, 생-텍쥐페리, 앙드레 말로, 메를로-퐁티, 레비-스트로스 등이 있다. 다른 그룹은 이른바 망명 지식인들이다. 그들은 국내 망명이나 해외 망명의 형태로 유배를 떠나 당대 현실 문제에 천착하며 각각 전혀 다른 사상적 업적을 남긴다. 예를 들어 비트겐슈타인, 만하임, 노이만, 아렌트,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프로이트의 후계자들인 하르트만과 에릭슨 등이 그들이다.
이로써 저자는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시대 이후 서구 지성사에서 가장 극적이고 풍요로운 결실을 가져다준 두 세대―1890년부터 1965년에 이르기까지―의 대장정을 마무리한다. 특징적인 것은, 서구에서 ‘지성사’ 서술에 관한 한 최고의 업적을 남긴 것으로 평가되는 저자가 택한 방식이 일반적인 ‘사상사’ 개념과 다른 독특한 성격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즉 저자는 이미 형성된 사상 자체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상의 형성과정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다시 말해 저자는 3부작을 통해 특정 사회적 상황 속에서 지식인들이 지성적으로 대응하는 방식을 탐구하고, 이 방식들을 통해 지성의 전체적 움직임을 개관하려고 한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3부작은 일반적인 사상사와는 명확하게 구별된다. 일반 사상사가 이미 익어서 떨어진 과일을 주워 모아 분류하는 작업이라면, 3부작은 과일이 나무에 하나하나 열리는 과정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인 사상사를 보던 안목으로 본다면, 이 책이 전기적 요소를 중요시하고 그 시대의 지성을 움직인 배경에 중점을 둔 것에 낯설어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저자의 의도가 바로 생동하는 지성의 움직임을 파악하고자 한 점에 있었음을 이해한다면, 대변혁의 시대를 망라하며 ‘통섭의 지식인’으로서 저자가 개괄해낸 이 책의 생동감에서 그 시대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기쁨을 발견할 것이다.
절망과 싸운 프랑스 지성의 역사
휴즈는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도 10여 년 동안이나 그 후유증을 앓아온 1930년으로부터 현대 사회로 진입하는 1960년대의 한 세대를 프랑스 사상사에서 ‘절망의 시대’로 설정한다. 당시 프랑스는 군사적으로 낙오를 당했고, 경제적 능력도 상실하고 있었으며, 외교적으로는 수세에 몰리고 있었다. 다시 말해 프랑스 국가 체제 전반이 심각한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던 것이다.
더욱이 전통적으로 문화적 우월감을 고집하고 있던 프랑스는 격변의 시대에 그것이 허세였음을 깨닫기 시작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신적ㆍ이념적 모색이 20세기 지적 모험의 전형으로서 치열하게 전개되었지만 이 역시 수많은 한계에 봉착하고 말았다. 휴즈는 이런 프랑스 지성 사회의 분위기를 ‘막다른 상황’으로 판단했고 그의 연구는 이 막다른 길로 치닫는 정신사적 궤적들을 추적하는 것으로 집중되고 있다.
휴즈가 가장 먼저 답사하는 지점은 페브르와 블로크의 역사 인식에 있어서 사회경제사적 방법론이다. 그들은 그 내면에서 프랑스의 대파국 이전의 세계에 살고 있었다. 다시 말해 당대의 학자들 가운데에서도 프랑스의 과거 세대와 가장 밀접한 경향을 지닌 사상가들이었다. 페브르와 블로크는 역사 해석의 난문제를 푸는 열쇠를 프랑스의 땅과, 손으로 만져볼 수 있는 프랑스의 유적에서 찾으라고 가르칠 정도였다. 그들은 역사가란 설명의 제시자라기보다 ‘탐구자’라는 점을 거듭 역설했다. 그들의 탐구 방법은 과거의 확신의 세계와 새로운 변화의 세계 양쪽에 살면서 두 세계 사이의 단절을 파고듦으로써 고립된 프랑스의 역사적 이해에 길을 마련해주었다.
이어 휴즈는 프랑스 전래의 지배적 종교 사상인 가톨릭의 교계 속으로 들어가 마리탱과 마르셀 등 당대 최고의 가톨릭 사상가들을 방문한다. 이들은 가톨릭신자들과 비신자들, 마르크주의자와 자유민주주의자들의 대립 속에서 격동의 시대에 인간 조건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지속적인 대화를 모색해가는 장을 마련한다. 여기서 그의 탐색은 경계를 더욱 넓혀 절망을 초극하기 위해 언어적 모험뿐 아니라 행동의 모험까지 감행한 마르탱 뒤 가르와 베르나노스, 생-텍쥐페리와 앙드레 말로 등 20세기 전반기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소설가들의 세계를 편력하고, 제2차 세계대전의 레지스탕스와 전후의 냉전기에 부닥친 이념적 갈등 국면을 사르트르와 메를로-퐁티의 철학과 정치평론을 통해 분석한다. 휴즈는 일련의 프랑스 사상가와 작가들의 열정적인 모색과 행동에 깊이 공감하면서도 이들의 지적 탐색이 고전적 규범에 집착하며 ‘국가적 자부심의 기이한 복합체’로 그 의식이 제한되고 있다고 그 약점들을 지적한다. 바로 그 지점에 ‘절망의 시대’에 피할 수 없었던 프랑스 지성사의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휴즈는 마침내 ‘막다른 상황’을 타개할 희망을 찾아낸다. 그는 그 불빛을 실존주의 작가 알베르 카뮈와 신부이면서 고고학자인 테야르 드 샤르댕 그리고 인류학자인 레비-스트로스에서 발견한다. 이들은 각각 식민지 알제리에서 성장하며 지중해적 행복의 시학을 펼치고, 동양에서 일군 학문적 성과 속에서 영겁에 이르는 우주적 운명을 상상하며, 남아메리카 원시인들의 삶을 통해 인간 보편의 사유 구조를 발견하는 등 이방적 사유와 정서로써 프랑스의 문화적 폐쇄성을 깨트리고 외부 세계를 향한 전망을 열어주며 현대적 보편성으로의 지향을 만들어준 지성들이다. 휴즈는 이들에게서 제1차 세계대전의 전야에 소설가 알랭-푸르니에가 방황하며 찾던 “작고 둥근 한 뼘의 빛”을 찾아낸 것이다.
저자소개
옮긴이 김병익: 1938년 경북 상주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문리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와 한국기자협회장을 역임했다. 문학과지성사를 창사(1975)하여 대표로 재직해오다 2000년에 퇴임했다. 대한민국문학상ㆍ팔봉비평문학상ㆍ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보관문화훈장을 서훈받았다. 2007년 현재 인하대 국어국문학과 초빙교수, 문학과지성사 상임고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초대위원장으로 있다. 평론집 『한국 문학의 의식』 『상황과 상상력』 『지성과 문학』 『들린 시대의 문학』 『전망을 위한 성찰』 『열림과 일굼』 『숨은 진실과 문학』 『새로운 글쓰기와 문학의 진정성』 『21세기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산문집 『한국 문단사』 『지성과 반지성』 『문화와 반문화』 『부드러움의 힘』 『우공(愚公)의 현주소를 보며』 『지식인됨의 괴로움』 『페루에는 페루 사람들이 산다』 『생각의 안과 밖』 『잊혀지는 것과 되살아나는 것』 『무서운, 멋진 신세계』 등과 다수의 번역서가 있다.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