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vs 사람
페이지 정보
본문

도서소개
전작 『남자 vs 남자』를 통해 독특한 인물 심리평전의 장을 열어보였던 정신과 전문의 정혜신의 두 번째 작품이다. 정혜신의 인물론은 그 평가 대상 인물을 단지 심리적인 측면에만 국한시키지도, 사회적 맥락 속에만 가둬놓지도 않는 탁월한 균형감각을 보여왔다. 바로 그 ‘심리분석+인물평전’의 성격으로 인해, 유명인들을 다루고 있지만 그 특별한 사람들의 특별한 삶에 대한 스케치로 그치지 않는다. 우리들 각자 속에 잠재되어 있음직한 심리적 기제들, 또 사회적 삶에서 부딪쳐 봤음직한 현실 상황들이 얽혀 펼쳐짐으로써 우리 자신을 거기에 투영해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기다 “긍정적 내용이든 비판적 내용이든 그 인물 자신이 수긍할 만해야 한다. 글 쓰는 동안 해당 인물의 사진 한 장을 컴퓨터 앞에 붙여놓고, 중간중간 그가 이 글을 받아들일 수 있는지를 묻는다”는 저자의 치열함과 신중함이야말로 글에 대한 신뢰와 공감이 깊고 넓을 수 있는 터밭이 되고 있다.
‘같음’과 ‘다름’ 사이에서
책이 다루고 있는 16명의 인물쌍은 각기 하나의 분석 코드를 중심으로 그 ‘같음’과 ‘다름’이 교직되어 나타난다. 각 인물쌍의 코드는 이렇다. ‘자존감: 이명박-박찬욱’ ‘소통: 정몽준-이창동’ ‘대중적 파괴력: 박근혜-문성근’ ‘자기노출: 심은하-김민기’ ‘희망과 욕망: 이인화-김근태’ ‘자기결정권: 나훈아-김중배’ ‘개성의 농도조절: 김수현-손석희’ ‘글의 힘: 김대중-김훈’. 인물 조합의 의외성이 글을 읽어 나가면서 절묘한 조합으로 이끌려지는 재미도 재미려니와, 이미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진 이들 인물에 대해 독자들 자신이 가지고 있었던 이미지와 저자의 해석을 대조해보는 것 또한 색다른 읽기의 맛을 줄 것이다. 더불어 남들과의 소통에서 나는 늘 내 시각으로만 통하려 해오진 않았는지, 자기노출을 강요하는 사회에서 나는 어느 정도를 적정선으로 여기며 지내왔는지, 내 인생 내가 산다고 떠들어왔지만 과연 그렇게 내가 내 인생을 결정해왔는지, 내 삶을 규정하는 아버지의 그림자를 느껴본 적은 없는지, 튀는 개성의 인물과 얽혀 지낼 때 그 불편함을 나는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하는 등의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는 기회이기도 할 것이다.
저자소개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