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생각
페이지 정보
본문

도서명 : 행복 생각 Pause Philo 5
저자명 : 베르트랑 베르줄리 지음 | 성귀수 옮김
서지사항 : 인문·철학|사륙판|300쪽|2007년 10월 26일
가 격 : 12,000 원
도서소개
행복은 인간 삶의 필수품이다
우리는 언제나 행복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정작 행복이 무엇인지는 모르는 것 같다. 또 행복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잘 알지 못한다. 인간의 뿌리깊은 이상인 행복에 도달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행복의 어원을 찾아보면 라틴어로 ‘보나 오라(bona hora)’, 즉 ‘알맞은 시간’을 뜻한다. 행복이란 바로 ‘알맞은 시간’ ‘때마침 오는 무엇’을 의미한다. 너무 이르지도 않고 너무 늦지도 않은, 적절한 때를 바로 행복이라 부르는 것이다. 모든 중요한 현상들이 그러하듯, 행복 역시 스스로 무르익는 어떤 현상을 가리킨다.
저자는 서문에서 이 책을 통해 행복을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멈추세요, 당신은 다 보지 못했습니다”라고, 행복을 믿는 사람들에게는 “멈추지 마세요, 당신은 아직 다 못봤습니다”라고 말해주고 싶다고 밝히면서 독자들에게 행복의 순간들을 함께 하길 권한다. 그런 뒤에 쾌락, 감미로움, 우애, 사랑, 영원 등과 같이 행복이 거느리는 많은 어휘들을 통해 우리 삶 속에서 스스로 무르익는 행복의 참 모습을 보여준다.
『행복 생각』은 행복으로의 전격적인 입문을 위한 안내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죽음은 삶의 관점에서만 보일 수 있고, 고통 또한 행복의 시각에서만 포착되는 것”이라는 저자의 말에는 행복이 우리를 떠난 적이 없었음을, 그리고 앞으로도 떠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스며 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는 행복이 얼마나 소중한 현상인가를 감지하고, 그것이 인생에 가져다주는 맛을 충분히 음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PAUSE PHILO
나의 일상 속으로 들어온 철학, 포즈 필로
‘포즈 필로PAUSE PHILO’는, 삶의 일상 속에서 마주치는 사소한 사안들을 철학과 연결시켜 독창적이고 자유롭게 사유를 풀어나간 철학에세이 시리즈이다. 프랑스 밀랑 출판사가 100권을 목표로 출간하고 있는 이 철학 대중화 프로젝트는, 현재 철학을 가르치고 있는 교수와 교사들이 대거 저자로 참여함으로써 프랑스 중고생들로부터 일반인들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독자층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도서출판 개마고원은 이 시리즈 중 현재 프랑스에서 출간되어 있는 것 가운데서 30종을 펴낼 예정이며, 우선 1차분으로 5종을 먼저 독자들에게 선보인다.
‘잠깐의 철학’ ‘쉼의 철학’ 등으로 해석될 수 있는 ‘포즈 필로’라는 명명에서 엿보이듯이, 이 시리즈는 매일 똑같이 반복되고 바쁘게 돌아가는 생활을 잠깐 일시정지[Pause]시켜놓고, 저 깊은 심연에 가라앉아 있는 사유의 세계를 거닐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그것은 결코 거창한 일이 아니다. ‘철학’ ‘사유’ 등의 단어가 부담스럽게 들린다면 ‘나의 삶, 나의 일상을 조금만 더 깊이 생각해보기’로 풀어보는 것도 괜찮겠다. 우리 일상의 아주 사소한 것에 관해 간단한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부터 이 철학에세이들은 시작된다.
발바닥에서 시작되는 철학? 와인 한 모금에서 시작되는 철학? 또는 이별의 눈물 한 방울에서, 백화점 세일 기간에 방출된 옷가지들에서 과연 철학이란 게 시작될 수 있을까? 이 책들은 “물론 그렇다!”고 답한다, 스쳐가는 일상 속의 목소리를 감지하고 거기서 시작되는 진솔한 철학하기를 보여줌으로써 말이다. 이 ‘포즈 필로’ 시리즈를 읽는 순간 독자는 일상에 대한 세심한 관찰자로서의 첫발을 내딛게 된다. 세심한 관찰은 하나의 생각을 낳고, 그렇게 나온 생각은 또 다른 생각을 낳는다. 질문을 던지고 스스로 답하기 위해 생각에 생각이 거듭되는 가운데, 어느새 우리의 정신적 삶은 넉넉하고 풍요로운 세계에 도달하는 감미로운 휴식의 시간을 누리게 될 것이다.
우리는 언제나 행복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정작 행복이 무엇인지는 모르는 것 같다. 또 행복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잘 알지 못한다. 인간의 뿌리깊은 이상인 행복에 도달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행복의 어원을 찾아보면 라틴어로 ‘보나 오라(bona hora)’, 즉 ‘알맞은 시간’을 뜻한다. 행복이란 바로 ‘알맞은 시간’ ‘때마침 오는 무엇’을 의미한다. 너무 이르지도 않고 너무 늦지도 않은, 적절한 때를 바로 행복이라 부르는 것이다. 모든 중요한 현상들이 그러하듯, 행복 역시 스스로 무르익는 어떤 현상을 가리킨다.
저자는 서문에서 이 책을 통해 행복을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멈추세요, 당신은 다 보지 못했습니다”라고, 행복을 믿는 사람들에게는 “멈추지 마세요, 당신은 아직 다 못봤습니다”라고 말해주고 싶다고 밝히면서 독자들에게 행복의 순간들을 함께 하길 권한다. 그런 뒤에 쾌락, 감미로움, 우애, 사랑, 영원 등과 같이 행복이 거느리는 많은 어휘들을 통해 우리 삶 속에서 스스로 무르익는 행복의 참 모습을 보여준다.
『행복 생각』은 행복으로의 전격적인 입문을 위한 안내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죽음은 삶의 관점에서만 보일 수 있고, 고통 또한 행복의 시각에서만 포착되는 것”이라는 저자의 말에는 행복이 우리를 떠난 적이 없었음을, 그리고 앞으로도 떠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스며 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는 행복이 얼마나 소중한 현상인가를 감지하고, 그것이 인생에 가져다주는 맛을 충분히 음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PAUSE PHILO
나의 일상 속으로 들어온 철학, 포즈 필로
‘포즈 필로PAUSE PHILO’는, 삶의 일상 속에서 마주치는 사소한 사안들을 철학과 연결시켜 독창적이고 자유롭게 사유를 풀어나간 철학에세이 시리즈이다. 프랑스 밀랑 출판사가 100권을 목표로 출간하고 있는 이 철학 대중화 프로젝트는, 현재 철학을 가르치고 있는 교수와 교사들이 대거 저자로 참여함으로써 프랑스 중고생들로부터 일반인들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독자층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도서출판 개마고원은 이 시리즈 중 현재 프랑스에서 출간되어 있는 것 가운데서 30종을 펴낼 예정이며, 우선 1차분으로 5종을 먼저 독자들에게 선보인다.
‘잠깐의 철학’ ‘쉼의 철학’ 등으로 해석될 수 있는 ‘포즈 필로’라는 명명에서 엿보이듯이, 이 시리즈는 매일 똑같이 반복되고 바쁘게 돌아가는 생활을 잠깐 일시정지[Pause]시켜놓고, 저 깊은 심연에 가라앉아 있는 사유의 세계를 거닐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그것은 결코 거창한 일이 아니다. ‘철학’ ‘사유’ 등의 단어가 부담스럽게 들린다면 ‘나의 삶, 나의 일상을 조금만 더 깊이 생각해보기’로 풀어보는 것도 괜찮겠다. 우리 일상의 아주 사소한 것에 관해 간단한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부터 이 철학에세이들은 시작된다.
발바닥에서 시작되는 철학? 와인 한 모금에서 시작되는 철학? 또는 이별의 눈물 한 방울에서, 백화점 세일 기간에 방출된 옷가지들에서 과연 철학이란 게 시작될 수 있을까? 이 책들은 “물론 그렇다!”고 답한다, 스쳐가는 일상 속의 목소리를 감지하고 거기서 시작되는 진솔한 철학하기를 보여줌으로써 말이다. 이 ‘포즈 필로’ 시리즈를 읽는 순간 독자는 일상에 대한 세심한 관찰자로서의 첫발을 내딛게 된다. 세심한 관찰은 하나의 생각을 낳고, 그렇게 나온 생각은 또 다른 생각을 낳는다. 질문을 던지고 스스로 답하기 위해 생각에 생각이 거듭되는 가운데, 어느새 우리의 정신적 삶은 넉넉하고 풍요로운 세계에 도달하는 감미로운 휴식의 시간을 누리게 될 것이다.
저자소개
지은이 베르트랑 베르줄리Bertrand Vergely: 에꼴노르말 출신 철학교수. 파리 정치학교IEP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포즈 필로> 시리즈의 『행복철학』 『무거움과 가벼움에 관한 철학』 『철학 개요』 『철학의 효용성에 관하여』 『슬픈 날들의 철학』 『철학자들의 거리』가 있으며, <에상시엘 밀랑> 시리즈의 『성 아우구스티누스』 『플라톤과 철학』이 있다.
옮긴이 성귀수: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 불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작시법과 수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1년 『문학정신』을 통해 시인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정신의 무거운 실험과 무한히 가벼운 실험정신』이 있고, 옮긴 책으로 아폴리네르의 『이교도 회사』와 『일만일천번의 채찍질』, 가스통 르루의 『오페라의 유령』, 아멜리 노통브의 『적의 화장법』, 크리스티앙 자크의 『빛의 돌』(4권)과 『모차르트』(4권), 모리스 르블랑의 『아르센 뤼팽 전집』(20권), 스피노자의 정신의 『세명의 사기꾼』 등이 있다.
옮긴이 성귀수: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 불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작시법과 수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1년 『문학정신』을 통해 시인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정신의 무거운 실험과 무한히 가벼운 실험정신』이 있고, 옮긴 책으로 아폴리네르의 『이교도 회사』와 『일만일천번의 채찍질』, 가스통 르루의 『오페라의 유령』, 아멜리 노통브의 『적의 화장법』, 크리스티앙 자크의 『빛의 돌』(4권)과 『모차르트』(4권), 모리스 르블랑의 『아르센 뤼팽 전집』(20권), 스피노자의 정신의 『세명의 사기꾼』 등이 있다.
댓글목록